애플이 연례 개발자 회의(WWDC)에서 드디어 자신들의 AI 비전을 꺼내 들었어. 이름은 ‘애플 인텔리전스’.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처럼 세상이 뒤집힐 듯한 화려한 발표는 아니었지만, 그들이 어디에 집중하는지는 명확히 보여줬지. 바로 ‘온디바이스’와 ‘프라이버시’, 그리고 이 모든 것을 구현할 ‘개발자’들이야.
화려함 대신 신중함, 애플의 AI 전략
애플의 접근 방식은 경쟁사들과는 사뭇 달라. 모든 데이터를 거대한 클라우드 서버로 보내 처리하는 대신, 아이폰, 아이패드, 맥 등 기기 안에서 직접 AI 연산을 수행하는 ‘온디바이스’ 방식을 고수했어. 이는 애플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인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었지.
물론 이런 방식은 기술적인 한계도 명확해. 클라우드 기반의 초거대 AI 모델보다 처리할 수 있는 작업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거든. 실제로 발표 이후 시장의 반응은 약간 미지근했고, “혁신보다는 점진적 개선”이라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어. 하지만 애플은 서두르기보다 자신들의 속도에 맞춰 내실을 다지는 길을 택한 셈이야.
핵심 AI 모델, 드디어 문을 열다
이번 발표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애플이 처음으로 자신들의 핵심 AI 모델을 외부 개발자들에게 공개했다는 점이야. 지금까지 굳게 닫혀 있던 애플 생태계의 문을 AI에 한해 활짝 연 거지.
‘파운데이션 모델 프레임워크’라는 새로운 도구를 통해 개발자들은 단 몇 줄의 코드로 ‘애플 인텔리전스’의 강력한 기능을 자신들의 앱에 손쉽게 통합할 수 있게 됐어. 특히 앱 화면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시각 지능 기술까지 개방되면서, 개발자들은 완전히 새로운 차원의 앱 경험을 만들어낼 기회를 잡게 됐지.
부족한 능력은 ‘챗GPT’로, 영리한 협력
애플은 자신들의 AI가 모든 것을 해결해 줄 거라 말하지 않았어. 더 복잡하고 방대한 최신 정보가 필요한 작업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외부의 힘을 빌리기로 했지. 그 파트너는 바로 OpenAI의 챗GPT야.
사용자가 시리(Siri)에게 더 어려운 질문을 하거나 작문 도구에서 더 창의적인 글을 원할 때, 챗GPT에 연결해 답변을 얻을 수 있도록 선택권을 주는 방식이야. 물론,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는 항상 사용자에게 명확하게 동의를 구해 프라이버시 원칙을 잊지 않았어. 이는 자체 기술로 기본기를 다지면서도, 필요할 땐 최고 기술을 빌려오는 유연하고 영리한 전략이라 할 수 있어.
결론적으로 애플의 AI 전략은 ‘기술 과시’가 아닌 ‘사용자 경험’에 맞춰져 있어. 개발자들에게 안전하고 강력한 놀이터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는 프라이버시 걱정 없이 일상에 스며드는 AI를 제공하겠다는 큰 그림이야. 당장의 화려함은 부족할지 몰라도, 애플 생태계가 AI를 어떻게 품고 발전해 나갈지 기대되는 이유지.
태그
#애플인텔리전스 #WWDC25 #온디바이스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