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t_img

네이버·카카오, ‘펑션 콜링’ 등 에이전틱 AI 기술 개발 경쟁 본격화

네이버·카카오, 에이전틱 AI 기술 개발 경쟁 본격화

네이버와 카카오가 차세대 AI 서비스의 핵심으로 주목받는 에이전틱(Agentic) AI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에이전틱 AI는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거나 질문에 답하는 수준을 넘어 사용자의 지시를 받아 실제로 외부 시스템에서 작업을 실행하는 AI로, 진정한 AI 에이전트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네이버의 버티컬 AI 에이전트 전략

네이버클라우드는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X에서 에이전틱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모델러와 리서치 엔지니어를 모집 중이다. 이는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올해 핵심 키워드로 제시한 ‘버티컬 AI 에이전트’ 서비스 개발의 일환이다. 버티컬 AI는 특정 산업이나 업무 분야에 특화된 AI 기술을 의미한다.

네이버의 구체적인 로드맵을 보면, 연내 커머스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우선 출시한 후 모빌리티, 검색, 광고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태국 ‘시암 AI 클라우드’와 협력해 관광 특화 AI 에이전트를 공동 개발하기로 하는 등 글로벌 시장 진출도 모색하고 있다.

카카오의 카나나 1.5와 펑션 콜링 강화

카카오는 지난 23일 공개한 ‘카나나 1.5’ 모델을 통해 에이전틱 AI 역량을 크게 강화했다고 발표했다. 카나나 1.5 모델들이 글로벌 모델 대비 뛰어난 한국어 성능을 유지하면서 코딩과 수학 문제 해결, ‘펑션 콜링(Function Calling)’ 능력에서 이전 대비 평균 1.5배의 성능 향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올해 1분기 컨퍼런스 콜에서 개발 중인 AI 에이전트에 대해 “단순한 문답 수행에 그치지 않는 ‘펑션 콜’로 카카오 생태계 내의 다양한 서비스를 넘나들며, 복합적이고 초개인화된 태스크를 수행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픈AI 협력과 자체 기술 개발의 균형

흥미로운 점은 카카오가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을 유지하면서도 자체 에이전틱 AI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외부 기술 의존도를 줄이면서 카카오만의 차별화된 AI 서비스를 구축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카카오 관계자는 “AI 기술 개발 흐름이 AI 에이전트로 가고 있고, (이 흐름에 맞춰) 모델 성능도 같이 올렸다”고 설명했다.

K-AI 생태계의 새로운 전환점

네이버와 카카오의 이번 움직임은 한국 AI 생태계가 단순한 챗봇 수준을 넘어 실질적인 업무 자동화와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진정한 AI 에이전트 시대로 진입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두 회사 모두 자사의 기존 서비스 생태계와 연결된 에이전틱 AI 기술을 통해 사용자 경험의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경쟁이 한국 AI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함께 사용자들에게는 더욱 스마트하고 실용적인 AI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한국어 특화 성능과 국내 서비스 생태계에 최적화된 에이전틱 AI 기술이 글로벌 빅테크와의 차별화 포인트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태그: #에이전틱AI #네이버 #카카오 #하이퍼클로바X #카나나

김지훈
김지훈
AI 섹션 전문 기자 김지훈입니다.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에 대한 기술적 내용을 쉽게 설명하면서도 전문성을 유지하는 글을 추구합니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많이 본 뉴스

- Advertisment -
Google search eng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