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의 앨범 플레이리스트가 스팸성 영상과 악의적 플레이리스트 채우기로 오염되며, 기술의 진화가 문화적 가치를 희석시키는 플랫폼 엔쉬티피케이션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유튜브는 한때 디지털 문화의 순수한 공유와 창의성의 공간으로 여겨졌다. 다양한 장르의 음악, 희귀한 앨범, 개인적 창작물이 모여 새로운 문화적 가치와 정체성을 만들어냈다. 그러나 최근 유튜브의 앨범 플레이리스트에서 관찰되는 엔쉬티피케이션(enshitification) 현상은, 기술이 인간의 표현과 소통을 어떻게 변질시키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기술의 본질은 인간의 창의성과 자유를 확장하는 데 있지만, 동시에 플랫폼 구조가 사익과 기계적 반복에 의해 오염될 위험을 내포한다. 이는 디지털 시대 문화의 진정성, 그리고 기억과 정체성의 보존이라는 인문학적 질문을 제기한다. 최근 유튜브에는 ‘플레이리스트 채우기(playlist stuffing)’라는 방식으로 오염된 앨범 재생목록이 급증하고 있다. 이는 자동화된 혹은 조직적으로 관리되는 계정들이 수십~수천 개의 플레이리스트를 만들어, 본래 음악과 무관한 장시간의 광고성·스팸성 영상을 끼워넣는 행위다. 이러한 영상은 ‘More’ 등 모호한 제목으로, 1시간 가까이 로봇 음성으로 암호화폐 투자, 온라인 마케팅 등과 관련된 내용을 반복한다. 공학적으로 볼 때 이는 유튜브 검색 및 재생목록 UI의 허점을 악용한 것이다. 특히 검색 결과에 플레이리스트의 앞부분만 노출되는 점, 계정당 플레이리스트 수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 점 등 구조적 한계가 악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남용은 사회적으로 여러 문제를 야기한다. 첫째, 진정한 문화 콘텐츠가 묻히고, 사용자는 신뢰할 수 없는 정보를 접하게 된다. 둘째, 해킹되거나 도용된 옛 계정이 상업적 이익을 위해 활용됨으로써 개인의 디지털 흔적과 프라이버시가 훼손된다. 윤리적으로 볼 때, 유튜브의 정책은 명확히 ‘기만적 플레이리스트’를 금지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대규모 자동화된 오남용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플랫폼 운영자의 책임과 공정성, 그리고 투명성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진다. 실제 사례를 보면, 2000년대 중반에 생성된 수많은 계정이 900개 이상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고, 그 안에 ‘More’나 ‘Unreleased’ 등 광고성 영상이 세 번째 트랙 이후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90 Day Men, Saoirse Dream, Chobits OST 등 희귀 앨범이 포함된 플레이리스트에도 이 같은 스팸 영상이 들어간다. 일부 음악가조차 자작곡을 유명 앨범 플레이리스트에 끼워넣어 조회수를 높인다. Engadget 조사에 따르면 단 100개 채널에서만 5만8천여 플레이리스트가 이런 방식으로 오염됐으며, 해당 스팸 영상은 75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이들 계정 다수는 해킹된 흔적이 있으며, 과거의 사적인 영상, 설명, 심지어 마이스페이스 링크까지 남아있어, 디지털 기억의 왜곡과 상업적 남용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 유튜브의 플레이리스트 엔쉬티피케이션은 기술 발전이 플랫폼의 개방성과 창의성을 훼손할 수 있음을 경고한다. 미래에는 플랫폼 운영자의 적극적 모니터링과 알고리즘 개선, 사용자의 디지털 주권 회복이 중요 과제로 부상할 것이다. 기술의 진보가 진정한 문화적 가치를 보존하고, 인간적 경험과 창의성을 지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이용자와 기업, 사회 전반의 지속적인 관심과 윤리적 통제가 필수적이다.
태그: 유튜브, 플레이리스트, 엔쉬티피케이션, 디지털문화, 플랫폼윤리